만 18세 미만은 뒤로가기를 눌러주세요.
1. 서론 - 마비노기 내 인플레의 현 주소
제 섭이 만돌린이긴 하지만 만돌린보단 류트/하프가 더 심각한 걸로 알고 있으니 서버 상관없이 하도록 하죠?.
빌어먹을 인플레, 이놈의 인플레 즐처드셈. 답이업ㅂ음 현시세는 현시창이고 통화량은 감당을 못할 지경에 이르렀음.
예전에 예전 토게에서 겨우 빨구정도가지고 통화량이 미쳐 날뛴다는 소리를 하던 사람이 있었는데... 지금 상황이 그겁니다. 통화량이 미쳐 날뛰어요. 뿌우 -_-)
만돌린 경제는 지금 식물인간 상태고.. GG. 뭐 캐쉬템 업뎃부터 예정된 수순이었지만...
2. 인플레의 원인을 알아보자.
- 통화 공급 증가의 측면에서
1) 그림자미션
예전에 직접적 골드 보상을 많이 주는 던전이라고 하면 빨구가 있었죠..뭐 지금도 애용되고 있습니다만..어쨋든 빨구같이 동전을 우수수 떨궈주는 던전은 통화량증가에 큰 기여를 합니다. 통화량 증가 = 인플레죠.
하지만 빨구는 골드 직접 드롭량은 많지만 중수충을 벗어나면 졸업을 하는, 그런 중간 단계의 던전이었습니다. 그리고 중수층의 유저는 유저스펙트럼에서 비교적 소수였기에 통화량 증가(골드의 증가)가 시장에서 커버 가능한 수준이었죠.
그림자 이전에는 고수층에 대한 보상이 직접골드드랍보다 레어템/역템/재료템과 같은 간접적 골드 보상이었습니다. 이런 보상 방법은 통화량(시장에서의 골드의 총량)이 증가하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죠.
천만 골드짜리 고글이 나와도, 개인간에 골드가 이동이 될 지언정 시장의 골드 총량 자체는 늘어나지 않습니다. 세금을 거둘수도 없는 게임내 경제에서 인플레를 억제하는데 효과적인 보상 방법이라고 저는 생각합니다.
하지만 그림자미션(이하 그림자)은 다릅니다. 전 유저층을 대상으로 하고 있고 (초급~하드까지) 직접적으로 골드를 보상으로 주죠.
물론 아닌곳도 있지만, 골드에 집중하려면 얼마든지 집중할 수 있습니다. (위저드 뺑뺑이같은거 말이죠) 하드레벨에서는 일반적 몹드롭 골드도 통크게 줍니다. 기본이 500내외죠? (이건 맞는지 모르겟네요..사냥을 안해서)
그림자 미션으로 인해 고수층에도 직접적 골드 보상이 이루어집니다. 이게 문제입니다.
마비의 유저층이 고수-소량/하수-대량 의 피라미드형을 그린다면 어찌저찌 해보겠지만, 지금 마비 유저층은 고수-대량/하수-소량의 역 피라미드 형을 그리고 있죠? 기존의 통화 회수 정책으로는 통화량이 감당할 수 없게됩니다.
만돌린은 망섭이라 모르겠는데 류트나 하프같은 유저가 많은 서버는 축포값이 안드로로 가있을지 모르겠네요. 하여간 서버에 골드가 차곡차곡 쌓이게 되고, 그 골드는 결국 인플레를 유발시킵니다.
2) 500만 수표의 업데이트
기본적으로 화폐의 액면가가 커지면 인플레가 일어납니다.(뭐 어쩌구저쩌구 이론이 있다는데 그건 패스)
기존에 거래 가능한 최대 금액은 1천만이었습니다. 하지만 500만숲이 생기고 난 후에는 5천만 골드가 되었죠.
1천만 골드가 최대치일때 1천 이상의 거래를 하려면 어느 한쪽이 위험부담을 가져야 했습니다. 그래서 (뭐 허점이 많은 논리이긴 하지만) 고가템이 1천만 이상으로 올라가는 걸 억제하는 효과가 있었습니다.
하지만 500만 골드가 생겼으니 맘놓고 1천 이상 거래하세요. 오호 통화량이 올라갑니다? 통화량 증가=인플레 였던가요? ㄳㄳ 그러니 고글은 좀 더 올려도 거래하기 불편함이 없으니 2천걸고 배짱부리자? ㅋㅋ.
답이 ㅇ벗죠. 뭐 이 논리 자체도 답이 없습니다. 뭐 어쨌든 누가 그러던데 화폐의 액면가가 커지면 인플레가 일어난답디다?!
3) 짱깨매크로
답이 없죠. 이건 정말 답이 없습니다. 그냥 [시간x매크로캐릭 수x줍는 동전] 만치 골드가 증가합니다. 그냥 답이 없습니다. 캐리어 가야합니다. 해결방안도 없습니다. 데빌캣도 해결 의지가 없습니다. 그냥 GG
- 통화 회수의 측면에서
1) 인챈트 보호 포션
이것에 대해 설명하자면 좀 복잡한데....우선 예전의 보상시스템은 예전 글에서도 설명했지만 (http://www.mabinogi.pe.kr/bbs/zboard.php?id=forum2&page=13&sn1=&divpage=1&sn=off&ss=on&sc=on&select_arrange=headnum&desc=asc&no=20)
중/고수층에게 직접적 골드보상이 아닌 역템/재료템등의 가치가 있는 현물로 지급이 되었고, 이런 아이템은 골드로 쉽게 전환이 가능했었습니다.
예를 들면 만돌린에서 최가를 먹으면 그건 곧 8천 골드를 먹은것과 다를바가 없었죠. 재료템은 거의 골드와 동일한 효과를 지닙니다. (골드와는 약간 다른 속성이지만 골드로의 전환이 쉽다는 점에서)
이런 골드와 같은 재료템으로 제작템을 제작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제작템은 원가란게 존재합니다. (뭐 이해하기 쉽게 한다면 종이박스를 천원짜리 지폐로 만든다고나 할까요?)
만약 남발렌의 재료가 100만 골드정도의 가치가 있다고 한다면, 하지만 그 재료를 남발렌으로 만든다면? 재료로 파는 것보단 남발렌으로 만들어서 파는 것이 환금성이 떨어집니다.
결국 통화 유동성 감소 => 통화량 감소(?) 뭐 좀 그렇긴 하지만 그렇습니다. 하려던 말은 이게 아닌데..
하여간 레어템과 달리 제작템은 원가가 있기 때문에 [제작템 제작=통화량 감소] 의 효과가 있습니다. (뭐 예를 들자면 다른 재료도 들어가지만, 마치 남발렌에 최가가 30개 들어간다면 8000골드x30 24만 골드가 시장에서 사라지는 효과를 가집니다.)
이런 제작템은 일정한 수요/소모 가 존재합니다. 어떤 중수가 남발렌을 산다고 합니다. 그 중수가 남발렌을 산 행위는(블스가 남발렌은 한 벌 만든 행위는) 위의 예로 보자면 100만의 통화량 감소를 가져옵니다. 중수가 100명이라면 1억 골드군요.
어떤 고수가 어벤남발렌을 지르는 행위는? 확률을 10%라고 가정한다면 9백만 골드의 통화 감소를 가져옵니다.
물론 900만 골드+어벤인을 들여서 이거보다 더 비싸게 판다면 그 고수의 이익은 증가한 것이지만 마비 내에서 통화는 오히려 줄어든 거라고 볼 수 있습니다.
이러한 골드 회수 정책에 도움을 주는 인챈트에 인챈트 보호포션을 적용하면 이런 결과가 나옵니다. 남발렌 100만 +8000캐쉬x9 가 소모됩니다?
마비 경제의 통화는 100만 골드밖에 감소하지 않았습니다. 원래는 900만 골드가 감소해야 하는데 말입니다. 결국 인챈트 보호 포션이 기존의 골드 회수의 측면을 약화시킨 면이 있습니다.
(뭐 이건 경제학 좀 아는 사람이라면 열심히 두드려 팰 수 있을 정도의 논리입니다. 통화/화폐와 재화는 좀 다르죠..)
2) 시몬의 100% 수리
뭐 이건 별거 없습니다. 10만 골드 원가의 내구도10/10인 옷이 있다고 합시다. 1포인트 박살날 때마다 1만 골드의 가치가 사라집니다. 옷이 박살나면 또 만들어야하기 때문에 10만 골드의 윈가가 소모되죠.
근데 시몬은 그런거 없습니다. 묻지도 따지지도 않고 100%죠. 통화량 감소는 없습니다. 영원히~
3. 결론 및 해결방안
게임 내의 보상 정책이 달라졌기 때문에 기존의 인플레 억제정책으로는 인플레를 억제 할 수 없게 되었다. 뭐 합성이나 경매 등 새로운 골드 회수정책을 시도하였지만, 실패했다.
뭐 경매에 대해서 잠깐 애기해 보자면, 경매에서 고가템(사치품)을 직접 판매해서 골드를 회수한다..라는 생각은 좋은데 말이지..
사치품은 비싸다고 사치품이 아니라, 최소한 마비내에서의 사치템은 “공급이 없거나, 매우 적으며 경직되있는” 아이템이다. 경매로 인해 공급루트가 다양해진다면 그건 더 이상 사치템이 아니지...
그리고 상점서 1천만골드짜리 졸래이쁜 아이템을 팔아도, 상점서 팔기 때문에 공급이 무한정이니 사치템이 될 수는 없고.
뭐 그래서 생각한 골드회수정책은 뭐 와우에 5천골새에 필적하는, 실용성 있는 아이템을 상점판매로만 파는것이다. 그것도 초고수층에만 메리트가 있는걸로.
로브에 인챈가능한 스크롤이라던가.. 모든 장비를 풀로 맞춘 초고수라면 더 이상 캐릭터를 강하게 할 부위가 없기 때문에 로브에 최뎀5박힌 로브라면 5백-1천정도는 들일수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
하여간 끝. 귀차니즘 때문에 2. 1)부터 힘들었다.
참고문헌- 게임어바웃-퀘스트-그림자미션
마비노기 공홈-업데이트
마타-자게
디스이즈게임-뉴스
ext) 원래는 통화, 재화, ,화폐가치 등 비슷하지만 좀 다른 용어를 사용해야 하지만, 이 글에서는 통화와 통화량으로만 표현했습nida.
3줄요약
데브캣 xx들 특히 새팀장
시밤나도먹고살자
레포트&시험기간에는 뻘글생산력이 300% 증가하지 ㅋㅋ
1차수정) 090407 - pm.11:34
3줄요약 수정
---------------------------------------------------------------------------------------------------
마타에 뻘글날린거 백업이랄까나..
1. 서론 - 마비노기 내 인플레의 현 주소
제 섭이 만돌린이긴 하지만 만돌린보단 류트/하프가 더 심각한 걸로 알고 있으니 서버 상관없이 하도록 하죠?.
빌어먹을 인플레, 이놈의 인플레 즐처드셈. 답이업ㅂ음 현시세는 현시창이고 통화량은 감당을 못할 지경에 이르렀음.
예전에 예전 토게에서 겨우 빨구정도가지고 통화량이 미쳐 날뛴다는 소리를 하던 사람이 있었는데... 지금 상황이 그겁니다. 통화량이 미쳐 날뛰어요. 뿌우 -_-)
만돌린 경제는 지금 식물인간 상태고.. GG. 뭐 캐쉬템 업뎃부터 예정된 수순이었지만...
2. 인플레의 원인을 알아보자.
- 통화 공급 증가의 측면에서
1) 그림자미션
예전에 직접적 골드 보상을 많이 주는 던전이라고 하면 빨구가 있었죠..뭐 지금도 애용되고 있습니다만..어쨋든 빨구같이 동전을 우수수 떨궈주는 던전은 통화량증가에 큰 기여를 합니다. 통화량 증가 = 인플레죠.
하지만 빨구는 골드 직접 드롭량은 많지만 중수충을 벗어나면 졸업을 하는, 그런 중간 단계의 던전이었습니다. 그리고 중수층의 유저는 유저스펙트럼에서 비교적 소수였기에 통화량 증가(골드의 증가)가 시장에서 커버 가능한 수준이었죠.
그림자 이전에는 고수층에 대한 보상이 직접골드드랍보다 레어템/역템/재료템과 같은 간접적 골드 보상이었습니다. 이런 보상 방법은 통화량(시장에서의 골드의 총량)이 증가하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죠.
천만 골드짜리 고글이 나와도, 개인간에 골드가 이동이 될 지언정 시장의 골드 총량 자체는 늘어나지 않습니다. 세금을 거둘수도 없는 게임내 경제에서 인플레를 억제하는데 효과적인 보상 방법이라고 저는 생각합니다.
하지만 그림자미션(이하 그림자)은 다릅니다. 전 유저층을 대상으로 하고 있고 (초급~하드까지) 직접적으로 골드를 보상으로 주죠.
물론 아닌곳도 있지만, 골드에 집중하려면 얼마든지 집중할 수 있습니다. (위저드 뺑뺑이같은거 말이죠) 하드레벨에서는 일반적 몹드롭 골드도 통크게 줍니다. 기본이 500내외죠? (이건 맞는지 모르겟네요..사냥을 안해서)
그림자 미션으로 인해 고수층에도 직접적 골드 보상이 이루어집니다. 이게 문제입니다.
마비의 유저층이 고수-소량/하수-대량 의 피라미드형을 그린다면 어찌저찌 해보겠지만, 지금 마비 유저층은 고수-대량/하수-소량의 역 피라미드 형을 그리고 있죠? 기존의 통화 회수 정책으로는 통화량이 감당할 수 없게됩니다.
만돌린은 망섭이라 모르겠는데 류트나 하프같은 유저가 많은 서버는 축포값이 안드로로 가있을지 모르겠네요. 하여간 서버에 골드가 차곡차곡 쌓이게 되고, 그 골드는 결국 인플레를 유발시킵니다.
2) 500만 수표의 업데이트
기본적으로 화폐의 액면가가 커지면 인플레가 일어납니다.(뭐 어쩌구저쩌구 이론이 있다는데 그건 패스)
기존에 거래 가능한 최대 금액은 1천만이었습니다. 하지만 500만숲이 생기고 난 후에는 5천만 골드가 되었죠.
1천만 골드가 최대치일때 1천 이상의 거래를 하려면 어느 한쪽이 위험부담을 가져야 했습니다. 그래서 (뭐 허점이 많은 논리이긴 하지만) 고가템이 1천만 이상으로 올라가는 걸 억제하는 효과가 있었습니다.
하지만 500만 골드가 생겼으니 맘놓고 1천 이상 거래하세요. 오호 통화량이 올라갑니다? 통화량 증가=인플레 였던가요? ㄳㄳ 그러니 고글은 좀 더 올려도 거래하기 불편함이 없으니 2천걸고 배짱부리자? ㅋㅋ.
답이 ㅇ벗죠. 뭐 이 논리 자체도 답이 없습니다. 뭐 어쨌든 누가 그러던데 화폐의 액면가가 커지면 인플레가 일어난답디다?!
3) 짱깨매크로
답이 없죠. 이건 정말 답이 없습니다. 그냥 [시간x매크로캐릭 수x줍는 동전] 만치 골드가 증가합니다. 그냥 답이 없습니다. 캐리어 가야합니다. 해결방안도 없습니다. 데빌캣도 해결 의지가 없습니다. 그냥 GG
- 통화 회수의 측면에서
1) 인챈트 보호 포션
이것에 대해 설명하자면 좀 복잡한데....우선 예전의 보상시스템은 예전 글에서도 설명했지만 (http://www.mabinogi.pe.kr/bbs/zboard.php?id=forum2&page=13&sn1=&divpage=1&sn=off&ss=on&sc=on&select_arrange=headnum&desc=asc&no=20)
중/고수층에게 직접적 골드보상이 아닌 역템/재료템등의 가치가 있는 현물로 지급이 되었고, 이런 아이템은 골드로 쉽게 전환이 가능했었습니다.
예를 들면 만돌린에서 최가를 먹으면 그건 곧 8천 골드를 먹은것과 다를바가 없었죠. 재료템은 거의 골드와 동일한 효과를 지닙니다. (골드와는 약간 다른 속성이지만 골드로의 전환이 쉽다는 점에서)
이런 골드와 같은 재료템으로 제작템을 제작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제작템은 원가란게 존재합니다. (뭐 이해하기 쉽게 한다면 종이박스를 천원짜리 지폐로 만든다고나 할까요?)
만약 남발렌의 재료가 100만 골드정도의 가치가 있다고 한다면, 하지만 그 재료를 남발렌으로 만든다면? 재료로 파는 것보단 남발렌으로 만들어서 파는 것이 환금성이 떨어집니다.
결국 통화 유동성 감소 => 통화량 감소(?) 뭐 좀 그렇긴 하지만 그렇습니다. 하려던 말은 이게 아닌데..
하여간 레어템과 달리 제작템은 원가가 있기 때문에 [제작템 제작=통화량 감소] 의 효과가 있습니다. (뭐 예를 들자면 다른 재료도 들어가지만, 마치 남발렌에 최가가 30개 들어간다면 8000골드x30 24만 골드가 시장에서 사라지는 효과를 가집니다.)
이런 제작템은 일정한 수요/소모 가 존재합니다. 어떤 중수가 남발렌을 산다고 합니다. 그 중수가 남발렌을 산 행위는(블스가 남발렌은 한 벌 만든 행위는) 위의 예로 보자면 100만의 통화량 감소를 가져옵니다. 중수가 100명이라면 1억 골드군요.
어떤 고수가 어벤남발렌을 지르는 행위는? 확률을 10%라고 가정한다면 9백만 골드의 통화 감소를 가져옵니다.
물론 900만 골드+어벤인을 들여서 이거보다 더 비싸게 판다면 그 고수의 이익은 증가한 것이지만 마비 내에서 통화는 오히려 줄어든 거라고 볼 수 있습니다.
이러한 골드 회수 정책에 도움을 주는 인챈트에 인챈트 보호포션을 적용하면 이런 결과가 나옵니다. 남발렌 100만 +8000캐쉬x9 가 소모됩니다?
마비 경제의 통화는 100만 골드밖에 감소하지 않았습니다. 원래는 900만 골드가 감소해야 하는데 말입니다. 결국 인챈트 보호 포션이 기존의 골드 회수의 측면을 약화시킨 면이 있습니다.
(뭐 이건 경제학 좀 아는 사람이라면 열심히 두드려 팰 수 있을 정도의 논리입니다. 통화/화폐와 재화는 좀 다르죠..)
2) 시몬의 100% 수리
뭐 이건 별거 없습니다. 10만 골드 원가의 내구도10/10인 옷이 있다고 합시다. 1포인트 박살날 때마다 1만 골드의 가치가 사라집니다. 옷이 박살나면 또 만들어야하기 때문에 10만 골드의 윈가가 소모되죠.
근데 시몬은 그런거 없습니다. 묻지도 따지지도 않고 100%죠. 통화량 감소는 없습니다. 영원히~
3. 결론 및 해결방안
게임 내의 보상 정책이 달라졌기 때문에 기존의 인플레 억제정책으로는 인플레를 억제 할 수 없게 되었다. 뭐 합성이나 경매 등 새로운 골드 회수정책을 시도하였지만, 실패했다.
뭐 경매에 대해서 잠깐 애기해 보자면, 경매에서 고가템(사치품)을 직접 판매해서 골드를 회수한다..라는 생각은 좋은데 말이지..
사치품은 비싸다고 사치품이 아니라, 최소한 마비내에서의 사치템은 “공급이 없거나, 매우 적으며 경직되있는” 아이템이다. 경매로 인해 공급루트가 다양해진다면 그건 더 이상 사치템이 아니지...
그리고 상점서 1천만골드짜리 졸래이쁜 아이템을 팔아도, 상점서 팔기 때문에 공급이 무한정이니 사치템이 될 수는 없고.
뭐 그래서 생각한 골드회수정책은 뭐 와우에 5천골새에 필적하는, 실용성 있는 아이템을 상점판매로만 파는것이다. 그것도 초고수층에만 메리트가 있는걸로.
로브에 인챈가능한 스크롤이라던가.. 모든 장비를 풀로 맞춘 초고수라면 더 이상 캐릭터를 강하게 할 부위가 없기 때문에 로브에 최뎀5박힌 로브라면 5백-1천정도는 들일수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
하여간 끝. 귀차니즘 때문에 2. 1)부터 힘들었다.
참고문헌- 게임어바웃-퀘스트-그림자미션
마비노기 공홈-업데이트
마타-자게
디스이즈게임-뉴스
ext) 원래는 통화, 재화, ,화폐가치 등 비슷하지만 좀 다른 용어를 사용해야 하지만, 이 글에서는 통화와 통화량으로만 표현했습nida.
3줄요약
데브캣 xx들 특히 새팀장
시밤나도먹고살자
레포트&시험기간에는 뻘글생산력이 300% 증가하지 ㅋㅋ
1차수정) 090407 - pm.11:34
3줄요약 수정
---------------------------------------------------------------------------------------------------
마타에 뻘글날린거 백업이랄까나..
'Game'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옷감/실크의 상점판매에 대한 소고 (0) | 2009.06.30 |
---|---|
마비노기 C3 발표 (0) | 2008.07.16 |
마비노기 24시간 무료화 발표 (0) | 2008.07.02 |